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 충격기(국비 9기)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 충격기
어제는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실습이 진행되었습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가 발생시 심장마비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경우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확률이
3배 가량 높다고 합니다.
그러니 잘 배워서 생명을 살리는데 일조를 하면 좋겠지요~~~
심정지의 주원인은 1.심장의 문제, 2.호흡의 문제 크게 둘로 나뉠수 있습니다.
흔히 심장이 아프다(심근경색의 경우가 많음
.)라는 것과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을때도 결과적으로 심정지에 이르게 됩니다.
자아~ 이제 단계별로 알아 보와요...
다은은 심폐소생술의 변천사입니다.
ABC->CAB
심정지로부터 가슴압박까지의 시간을 줄인다.
일반인 구조자의 인공호흡에 대한 부담감을 던다.
가슴 압박 -> 제세동기
2011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은 가슴 압박의 중요성 강조
2015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에는 성인만 인공호흡을 하지 않고
가슴 압박만을 실시
영아나 소아의 경우 : 가슴 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
이렇듯... 가습압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영아나 소아의 경우는 반드시 인공호흡이 포함된 심폐소생술을 실시 해야 합니다.
check point!!!
성인의 경우에도 익수 등에 의한 심정지 환자에서는 인공호흡이 필수적으로 병행해야 합니다.
1.의식확인
심정지의 확인은 “의식확인”으로 합니다.
가) 심정지 확인 과정
심정지가 발생한 사람은 의식이 없고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호흡이 없으며 자발적인 움직임이 없다.
심정지 직후 비정상적인 호흡이 일시적으로 관찰되거나 경련 발작에
의한 움직임 동반 -> 자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나) 기본 소생술의 단순화
의식이 없으면서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 호흡상태
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 심정지 호흡(비정상적인 호흡)은
심정지 발생 후 초기 1분간 40% 정도에서 나타남
보통 의식없이 쓰러지는 사람의 90%이상이 앞으로 넘어진다고 합니다.
어깨를 두르려서 반응을 확인합니다.
“여보세요~~~ 아저씨 ~~~~ 괜찮으세요~~~~~”
2.자세를 취해 줍니다.
이때 경추를 보호하면서 돌려줍니다.
3.주변사람들에게 119호출 빛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져올 것을 요청합니다.
예를들어~~~ “거기, 안경쓰신분”
“거기, 빨간자켓 입으신분” 이렇게요~~~